#1 데이터 타입 (숫자NUMBER)
public class (파일명) {
public static void mian(String[] args) {
// 연산자(Operation)
System.out.println(6 + 2); // 8
System.out.println(6 - 2); // 4
System.out.println(6 * 2); // 12
System.out.println(6 / 2); // 3
System.out.println(Math.PI); // 3.14 ...
System.out.println(Math.floor(Math.PI)); // 3.0
System.out.println(Math.ceil(Math.PI)); // 4.0
}
}
자바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선 우선
public class 뒤에 해당 클래스(파일명)을 입력하고 블럭 안에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를 넣어주어야 한다.
화면에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서는
System.out.println() 이 필요하다
자료형에는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
숫자형(Number), 문자열(String) 등이 존재한다.
#2 데이터타입 문자, 문자열( Character / String )
public class StringApp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!"); // String
System.out.println('H'); // character
// Character는 한 글자를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이다.
// String은 Character들이 모여있는 데이터 타입이다.
System.out.println("H"); // 가능하다
System.out.println("Hello "
+ "World!"); // 문자열은 덧셈연산자가 가능하다
System.out.println("Hello \nWorld!");
// \n은 new line 의 약자이다.
System.out.println("Hello \"World\"");
// 이스케이프 문자는 \뒤에 쓴다. \" \"
}
}
문자(Character)가 모여서 문자열(String)이 된다. 당연히 문자열데이터 타입은 문자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. 예제와 같다.
#3 문자열 메소드
public class StringOper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!".length());
// .length()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메소드
System.out.println("Hello, Name ... bye.".replace("Name", "Another Name"));
// .replace() 문자열을 대체할 수 있는 메소드
}
}
문자열이라는 자료형(Data Type)을 이해하면 상기 예제와 같이 문자열과 관련된 메소드를 사용하여 편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#4 변수의 자료형 선언
public class VariableInJava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a=1 ; Number -> Integer
int a = 1; // int
System.out.println(a);
// b = 1.1 ; real Number -> double 실수
double b = 1.1; // double
System.out.println(b);
String c = "Hello World!"; // String
System.out.println(c);
}
}
자바는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변수에 어떠한 값을 할당하려 할 때, 할당되어질 값의 자료형식을 변수에 미리 선언해주어야 한다. 자료형을 확정지어 선언하지 않는다면, 컴파일 자체가 불가능하다. 이는 나중에 컴파일을 진행할 때 생길 수 있는 오류를 미리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내재되어있는 기능이다.
실생활에서 그냥 컵에 액체가 담겨있으면 그것이 물이라 확신하여 바로 마시기 어렵지만, 음료수 용기에 개봉한 흔적 없이 담겨져 있다면 그것은 음료수라 확신하고 바로 마실 수 있는 것과 같은 논리이다.
#5 변수의 효용성
public class Letter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System.out.println("Hello, Name ... Name... Name... Name.... Name! bye");
// 상기와 같이 특정 문자열(String)이 반복하여 출현할 경우 그것을 변수에 할당하여 관리한다면
// 효율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.
String name = "Other Name";
System.out.println("Hello, "+name+" ... Name... "+ name +"... Name.... "+name+"! bye");
double VAT = 10.0;
System.out.println(VAT);
//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값을 사용한다면
// System.out.println(10.0); 과 같이
// 어떤 목적을 갖고 값이 사용되었는가를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
// 상기와 같이 변수를 이용하여 표현한다면,
// 그 값의 목적이 두드러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.
// 협업을 할 경우 자신의 코드가 어떠한 목적으로 작성됐는지,
// 그것을 코드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간단하게 그리고
// 빠르게 알아볼 수 있도록 이름을 짓고 코딩을 하는 것이
// 중요하다.
}
}
상기의 내용과 같이 변수의 이름을 적절히 설정하고, 사용하고 배열하는 것이 중요하다.
#6 자료형 변환(Casting)
import javax.print.DocFlavor.STRING;
public class Casting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double a = 1.1; // 1.1은 실수이기 떄문에 double이 참이다.
double b = 1; // 1은 정수이지만 실수형 변수에 할당하면
System.out.println(b); // 1.0 과 같이 실수가 되어 출력된다.(컨버팅이된다)
//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잃어버리는 값이 생기지 않는다.
// int c = 1.1; // int형 변수에는 double의 값을 할당할 수 없다.
// 이유는 변수 C를 정수화 한다면, 소수점 이하의 값을 잃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
// 그로 인하여 컴파일상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.
//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double d = 1.1;
int e = (int) 1.1; // double을 int로 casting함
// 상기와 같은 상황은 명시적으로 캐스팅 하였다 한다.
System.out.println(e); // 1.1 을 int로 캐스팅하면
// 값이 1이된다.
// 1 to String ( java int to string casting)
String f = Integer.toString(1);
System.out.println(f); // 1 그렇지만 String
System.out.println(f.getClass());
// class java.lang.String
}
}
자바는 데이터 타입의 선언에 대해서 상당히 엄격함으로 이후 코딩을 할 때 자료형 변환에 대하여 고민을 많이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. 그때 자료형의 변환을 캐스팅, Casting 이라고 일컫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.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부내용 정리 Java :: 기초 III (0) | 2021.06.14 |
---|---|
공부내용 정리 Java :: 기초 II (0) | 2021.06.12 |
공부내용 정리 Java :: 기초I (0) | 2021.06.11 |
공부내용 정리 Java :: 입문III (0) | 2021.05.06 |
공부내용 정리 Java :: 입문II (0) | 2021.05.06 |